카테고리 없음
장애인 연금과 기초생활수급자의 차이점은?
MSMK12
2025. 6. 19. 22:43
반응형
정부에서는 저소득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복지제도를 시행 중입니다. 그중 대표적인 제도인 장애인 연금과 기초생활수급자 제도는 비슷해 보이지만, 목적과 대상, 수급 방식이 분명히 다릅니다. 본 글에서는 이 두 제도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.
1. 제도의 목적과 기본 개념
- 장애인 연금: 중증 장애인의 기본적인 생활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현금성 급여 제도
- 기초생활수급자: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가구에 생계·의료·주거 등 전반적인 복지 혜택을 지원하는 제도
2. 수급 대상자 기준 비교
구분 | 장애인 연금 | 기초생활수급자 |
---|---|---|
대상 | 만 18세 이상 중증 장애인 |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0~50% 이하 |
소득요건 | 소득인정액 기준 이하 (단독 122만원 수준) | 가구 전체 소득과 재산 기준 충족 |
장애조건 |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(구 1~3급) |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소득 기준 충족 시 가능 |
3. 수급 내용과 혜택 차이
- 장애인 연금: 매월 기초급여 최대 40만 원(2025년 기준), 부가급여는 기초생활보장 대상 여부에 따라 차등
- 기초생활수급자: 생계급여(매월 생활비), 의료급여(진료비 지원), 주거급여, 교육급여 등 복합적 지원
즉, 장애인 연금은 장애인 개인 중심의 현금 지원이며, 기초생활수급자는 가구 단위의 생계 전반 지원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.
4. 동시 수급 가능할까?
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입니다. 답은 YES입니다. 두 제도는 서로 배타적이지 않으며, 장애인 연금과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동시에 수급할 수 있습니다. 단, 일부 급여 항목은 중복 수급 시 감액 조정이 있을 수 있으므로, 담당 사회복지사 또는 주민센터에 반드시 문의해야 합니다.
5. 신청 방법은?
- 장애인 연금: 주소지 주민센터 방문 신청 → 국민연금공단 심사 후 지급
- 기초생활수급자: 복지로 온라인 신청 또는 읍·면·동 주민센터 접수
반응형